본문 바로가기

열병합

봄 가을 시즌 아파트 단위 강제 간헐적 난방 공급시 세대 난방 요령 지역난방에서 연속난방이 효율적이냐 간헐난방이 효율적이냐는 꽤 오래된 주제입니다. 개별세대에서는 많은 분들이 연속난방을 하고 있지만.. 저는 2013년부터 간헐적 난방을 해야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관련해서 작년부터 많은 지역난방 컨텐츠를 유튜브와 블로그, 카페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지역난방의 올바른 사용법이라고 주장하기도 하고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notice/39), 지역난방 혹은 열병합 아파트로 이사 가는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87)도 만들어 프로모션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지역난방공사에 민원도 넣었었는데 효과를 보지는 못했습니다 ㅠㅠ 하지만 아파트 단위에서는 연속과 간헐, 두 가지 난방 방.. 더보기
지역난방 혹은 열병합 아파트로 이사 가는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다시 난방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난방이 필수인 우리나라에서 갑자기 지역난방을 만나면 매우 당혹스럽죠. 정보를 찾아봐도 뭔가 상식에 반하는 것 같고.. 써 봐도 좋다는 데 좋은 줄 모르겠고.. 돈은 돈대로 나가고 춥기만 하고.. 이것이 전부 잘못 알려진 지역난방 사용법 "연속 난방" 때문입니다. 특정 온도로 셋팅하고 난방을 계속 켜 놓으면서 난방비가 많이 안나오게 해야 하니.. 온도는 1도씩 올려라.. 절대 끄지 마라.. 20-21도에서 생활해라.. 등 지키기 힘들고 일반상식에 반하는, 결과적으로 전국민을 오도하고 있는 지역난방 상식들, 팁들이 공공기관, 블로거, 초보자들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제가 그동안 올바른 지역난방 사용법으로서 "간헐적 타이머 난방"에 대해 많은 지식들을 소개했었는.. 더보기
세대급탕비 단가의 합리적 산정 방안 어제 장시간 한국지역난방공사 담당자와 통화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제가 세대급탕비 단가에 대한 표준안 마련과 간헐적 난방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해 달라는 민원을 제출했었습니다. 결국 여러 정부 부처/부서를 거쳐 최종 한국지역난방공사 담당자가 답변을 하게 되었는데.. 답변은 민원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이루어진 것 같지 않아 직접 통화를 했습니다. 결국 세대급탕비 단가 기준을 마련하는 특정한 부서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고, 담당자께서 팀원들과 상의해 보고 결과를 알려주시기로 했습니다. 제 논리를 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지난 번 난방단가의 숨겨진 충격적 비밀이라는 두개의 영상을 만들어 공개한 바 있습니다. youtu.be/vHKarNGZpDk 난방비 및 세대급탕비 책정 원리 설명하는 동영상 you.. 더보기
지역난방 새아파트 베이크아웃 방법 공개 지역난방 아파트는 온도를 올리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베이크아웃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난방비 폭탄이 발생할 수 있으니 일반적으로 시도하기도 어렵습니다. 또한 온도를 많이 올리는 것이니 에너지 낭비도 심해서 별로 권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새아파트에 입주하는 경우라면 새집증후군이 걱정되고 어린 아기가 있다면 어떻게든 베이크아웃을 하고 싶어집니다. 다른 블로그 글들 보면 지역난방 온도를 올리기 어렵기 때문에 화학약품을 사용하거나 다른 온풍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많이 추천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다른 방법 안 쓰고, 지역난방 높은 온도로 베이크아웃 (Bake Out)을 할 수 있다면 너무 이상적이고 편할 것 같습니다. 그럼, 지역난방에서는 정말 온도를 40도 가까이 올릴 수 없을까.. 더보기
지역난방 열량계 아파트와 간헐적 난방: 난방비 80% 다이어트 가능 증명 최근 글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24) 에서 지역난방 열량계 아파트에서도 간헐적 난방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예측을 한 바 있습니다. 여러 근거를 댔지만 일종의 사고실험이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지역난방 열량계 아파트와 간헐적 난방 그동안 지역난방 유량계 아파트의 난방비 절약을 위해 (혹은 난방비 폭탄을 피하기 위해) 필수적인 타이머를 이용한 간헐적 (시간) 난방 사용법에 대해 많은 말씀을 드렸었습니다. 유튜브 동영�� drkimfixnsolve.tistory.com 주요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량계에 비해 열량계가 훨씬 우월한 시스템임. 2. 연속난방은 뜨거운 물이 임무를 다하지 못하고 계속 순환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과다한 열손실을 초래함. 3. 간헐.. 더보기
지역난방 아파트 난방비는 얼마가 적당할까? 난방비 폭탄은 최대 얼마 정도일까? 이제 겨울도 지나가고 난방비로 골치 아픈 시즌은 거의 끝나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3월말 - 4월초까지는 난방이 필요하니 그때까지 난방 관련 정보를 계속 생산해 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 2월달 관리비 나오면 난방비에 살짝 관심을 더 가지실 것도 같습니다. 여름에 난방얘기하고 있으면 짜증나니 그때는 다른 얘기 나누고 있겠죠. 자 오늘은 지역난방 아파트에 사는 주민들이라면 모두 궁금해 할 것 같은 질문 두가지에 대해 말씀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겨울철 얼마의 난방비를 내면 적당할까? 이 문제는 보통 아파트 평형수와 생활온도와 관련이 깊습니다. 40평 기준으로 23-24도 생활하고 있는 저희 가족은 한달에 3만원 냅니다. 아래 보면 난방비 내역과 생활온도는 유튜브 동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 더보기
계절 연동 세대급탕비 예시 - 모든 국민이 난방 전문가일 필요는 없잖아요? 2013년 문제제기해서 저희 아파트에 최초 도입한 계절 연동 세대급탕비 자료입니다. 현재는 열손실비도 계절 연동해서 좀 더 싼 것 같네요. 이 공식이 정답은 아니지만 대략 이런 방식으로 반영되어야 합니다. (세대급탕비 단가 = 저수조 물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열량 x 열량 단가) 근데 저 사진 공식에선 단가를 대략 4000원으로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30% 열손실비를 추가했네요. 관리비에 따로 있는 열손실비랑 이중으로 청구된 모양새네요. 역시 관리사무소 글라스ㅠ 아무튼 계절 연동이 안되면 여름에 다량의 급탕충당금이 발생하고 겨울엔 난방수 단가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수익자 부담원칙도 훼손되고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현재 정책적으로 반영이 안되어 있어 각 아파트마다 단가 결정 기준이 중구난방입니.. 더보기
여러가지 알쏭달쏭 지역난방 상식 정리 겨울철 난방비 절약은 매우 골치 아픈 문제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보일러, 열이 전문분야처럼 여겨지는 데다가.. 개별난방, 지역난방 사용법이 다 다르다고 하지.. 조금만 온도를 올렸다 싶으면 난방비가 많이 청구되는 것 같으니, 가슴을 졸이며 온도조절기를 껐다 켰다 반복하게 됩니다. 어떤 집은 난방비 0원이라는 데 뭔가 비리가 있겠지? 약간 춥게 살아야 되나.. 얼마가 춥게 사는 건지.. 20-21도도 많이 추운데.. 그러다 감기라도 걸리면 병원비가 더 들기도 하고.. 온도를 25-26도 올리고 살면 좋겠지만.. 왠지 낭비하는 느낌이고.. 지구에도 해롭고요.. 결국은 난방이라는 분야의 정보격차가 만들어 온 폐해 같습니다. 전문기사들도 자기들 돈 벌이와 관련 있으니 잘 안알려주고요.. 잘 모를 수도 있고요.... 더보기
지역난방 난방비 절약 비법 - 타이머를 이용한 간헐적 난방 아파트 난방비 절약하느라 춥게 많이 사시는데 한달에 3만원으로 23도 생활하는 비법을 공개하려 합니다. 우선 문풍지 등 기본적인 노력이 필요하고요, 지역난방 유량계일 경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난방비 폭풍 다이어트 전후 사진입니다. 일단 먼저 열량계인지 유량계인지 확인해 보시고요 아래 글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13 지역난방 열량계 유량계 구별법, 열량계 단위, 열량 환산 계산 지역난방 아파트에서 난방요금을 각 세대에 부과하기 위해서는 계량기를 이용해 사용한 열량을 측정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계량기로 유량계와 열량계가 있는데 대부분의 지역난방 아파트 생활 drkimfixnsolve.tistory.com 지역난방에서 유량계는 잘못 사용하면.. 더보기
지역난방 겨울철 안심 환기 요령 미세먼지로 힘드시죠? 겨울철 환기 관련 해서 동영상을 만들었습니다. 계산해 보니 새공기로 바꿨을 때 사용 난방비가 33원 정도 밖에 안된다는 얘기고요.. 비용이 저렴하니 난방비 때문에 가슴 졸이지 말고 맘껏 환기하자가 핵심 메세지입니다. 공기는 부피는 크기만 질량이 얼마 안되기 때문에 열용량이 작습니다. 따라서 환기 때문에 잃는 열량은 얼마 안됩니다. 60도의 물을 접촉했을 때는 화상을 입는데, 60도 습식 사우나에서는 화상을 입지 않은 것도 같은 이치입니다. 그럼 실제로 환기에 얼마의 열량이 필요할까요? 저희집은 40평으로 132 m^2이고요, 층고는 2.4 m입니다. 공기는 22.4 리터가 1 mol이고 1 mol의 공기는 대략 14.4 g입니다. (고등학교 과학상식 정도 필요하네요.) 이렇게 계산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