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lve/티스토리-유튜브

티스토리 애드핏 AdFit 수익 극대화하기 - 천기누설?

티스토리 블로그 시작하며 다음 (카카오) 애드핏 AdFit 광고를 바로 달았었습니다. 당시엔 애드핏 승인이 쉬웠던 것 같은데 요즘은 조금 어려워진 것 같더라구요. 구글 애드센스와 다르게 조회수에 기반해서 수익이 발생하다보니 블로그 초반엔 조회수도 별로 없고 수익은 몇 십원 정도로 거의 무시할 만한 수준이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다른 분들은 애드핏을 조금 해보고 애드센스에 집중하기 위해 애드핏은 내리거나 하나 정도 예의상 다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티스토리에 대한, 다음 카카오에 대한 예의로 플러그인을 이용해 상단, 하단 두개를 늘 달았었습니다. 그 이후 블로그 조회수도 많이 성장했고, 애드핏 광고 노하우도 생기고 그러다 보니.. 그동안 적립된 애드핏 수익이 10만원이 훌쩍 넘었습니다.

다음 애드핏 지급 요청 승인

그래서 그동안 제가 알아낸 애드핏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몇몇 공개해 보겠습니다. 많이 알려져 있는 것도 있고 살짝 틀린 내용일 수 있는 것도 있고 공개하면 다음 카카오 측에서 루트를 막아 버릴 수 있는 소위 천기누설 내용도 살짝 있습니다. 조만간 티스토리 관리자 화면에 수익 관리도 도입한다고 하니.. notice.tistory.com/2552 아래 내용 참고해서 애드핏 광고를 운영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우선 애드핏 광고는 조회수 기반이니 광고를 많이 노출할수록 수익이 많아집니다. 따라서 광고를 많이 달면 되는데, 운영정책에 의하면 최대 4개까지 달수 있는 것 같습니다. 4개를 초과해서 애드핏 광고를 게재하는 경우 이용제한 가능하다고 하니 4개까지는 안전하다는 소리 같습니다. 저는 얼마 전까지 3개인 줄 알고 3개만 달다가 최근에 4개로 하나 증가시켰습니다. 수익 33% 증가 되겠습니다.

애드핏 운영정책 광고갯수 제한 내용

2. 애드핏 광고는 클릭이 발생해도 수익이 늘지 않지만 애드센스 클릭을 잡아 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애드센스 클릭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애드핏 광고를 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창기엔 애드핏 플러그인을 이용해 상,하단에 달다가 이 문제 때문에 지금은 사이드바에 태그 입력기를 이용해 애드핏 광고를 달고 있습니다. 노출은 되면서 클릭은 되지 않는 위치로 저는 페이지 맨 하단을 선택했습니다. 제가 쓰는 왓에버 스킨 하단에 사이드바가 3개 있으니 이를 이용했고, 일부 중요한 사이드바 컨텐츠는 스킨을 변형해서 본문 오른쪽에 배치시켰습니다. 결국 사이드바가 오른쪽과 하단에 있는 특이한 구조가 완성되었습니다. 당연히 애드핏 위치에 따라 CPM 단가는 차이가 있고 상단에 있을 때보다 하단에 있을 때 CPM 단가가 더 저렴합니다. 이 부분은 애드센스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애드핏이 희생해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Whatever-Side 변형 스킨은 아래에서 무료로 배포하고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rkimfixnsolve.tistory.com/168 

 

티스토리 왓에버 Whatever 스킨 오른쪽 사이드바 구현

티스토리 Whatever 스킨은 깔끔하고 다 좋은데 사이드바가 본문 밑에 위치해서 존재감이 전혀 없습니다. 본문 글 내용으로 승부를 보는 전략인데.. 아무도 밑에 달린 사이드바 내용을 확인하지 않�

drkimfixnsolve.tistory.com

3. 애드핏 광고는 일반적으로 반응형이 아니고 고정형이어서 모바일과 PC에 표시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나마 320x100과 320x50 크기가 반-반응형 형태로 작동해서 주로 이것들을 이용했었습니다. 4개의 애드핏 광고를 달아야 하는데.. 광고가 많지 않다는 느낌이 들도록 배치하기 위해 320x100, 320x50, 300x250, 250x250 크기를 4개의 사이드바 하단에 분산 배치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PC에서는 거의 확실히 노출되는 것 같고 모바일에서는 노출이 약간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런데 노출량을 보면 모바일도 카운트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마 페이지뷰가 발생할 때 애드핏 광고도 동시에 다운로드 돼서 광고가 방문자에게 노출되든 되지 않든 카운트되는 것이 아닌가 짐작됩니다. (추가 2020/10/31: 역시 천기누설을 했더니 애드핏 측에서 액션을 취했네요. 모바일 노출 부분을 수정한 것 같습니다. 노출이 PC의 1/3로 확 줄었습니다.)

4. 다음은 잘 알려져 있는 내용인데, 애드핏 광고 노출을 늘리기 위해 아래와 같이 광고단위 설정에서 광고노출 빈도를 30초로 설정했습니다. 방문자가 30초 이상 머물면 이론적으로 노출이 두배로 증가하는 것 같습니다. 수익 2배 증가 되겠습니다. 

애드핏 광고단위 노출빈도 설정하기

5. 마지막으로 아래 그림처럼 일정한 노출수에도 불구하고 수익 커브를 퀀텀 점프하게 할 수 있습니다. 약간 천기누설 내용인데.. 애드핏 측에서 알면 루트를 막아 버릴 수도 있어 공개적으로 밝히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아래 커브를 이해하신 분들 중에 비법을 알고 싶으신 티스토리 애드핏 운영자분들은 아래 하트와 구독하기 후 댓글 주시면 블로그 방명록 비밀 댓글로 비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감) 수익은 역시 2-3배 이상 증가 되겠습니다.

최근 2주 애드핏 광고노출수와 예상 적립금 추이 - 10.12일에 Quantum Jump 발생

티스토리 애드핏 수익 극대화하기에 대해 제가 아는 내용은 대략 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이론적으로 같은 페이지뷰 조회수에 대해 애드핏 광고 수익을 4배 (광고갯수) x 2배 (노출빈도) x 3배 (퀀텀점프), 즉 최대 약 24 배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얼마 되지 않는 수익일 수도 있고,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일 수도 있으니 잘 참고하셔서 필요한 경우 애드핏 수익도 챙기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바라건데 아직 애드핏 수익은 애드센스에 비해 미미한데, 이번 티스토리 수익관리 (수익창출기능) 도입을 계기로 애드핏 수익 배분정책도 애드센스 수준으로 올라가길 기대해 봅니다. 티스토리 만세~

(추가 2020/10/27) 애드핏 하루 예상적립금이 1000원을 넘은 경우가 발생해서 인증합니다. 애드핏 하루 1000원은 전인미답인 줄 알았는데, 이게 가능하네요.

애드핏 하루 예상적립금

(추가 2020/11/7) 최근 애드핏 광고를 이것 저것 크기도 조정하고 배치도 조정하고.. 더불어 지역난방 관련 방문자수도 증가하고 하더니.. 하루 애드핏 수익이 1500원에 근접했습니다.

1500원 정도로 증가된 애드핏 일일 수익

애드핏 수익도 결코 무시할 만한 수익이 아니네요. 잘 가꾸어 봐야 겠습니다.

(추가 2021/2/9) 2월 들어서 갑자기 애드핏 수익 배분이 1/10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증가한 것이 아니고 감소했습니다 ㅋㅋ 카카오가 의도한 것인지 버그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이대로라면 애드핏을 달고 있는 것이 거의 무의미한 수준입니다. 아마 시스템 업그레이드 과정의 버그가 아닌가 싶어.. 당분간 지켜봐야 할 것 같네요.

(추가 2021/2/15) 보름 정도 관찰해 본 결과.. 살짝 노출 중심으로 수익이 있었던 것에서 클릭수에 비례해서 수익이 발생하는 모델로 이동하는 것도 같습니다. 더 지켜봐야 할 듯 하네요.

(추가 2021/2/21) 대략 20일 정도 애드핏 수익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단 애드핏 수익 모델은 확실히 노출수 기반에서 클릭수 기반으로 옮겨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위에 기술되어 있는 애드핏 수익 극대화 방법 1-5는 이제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과거의 기록으로 참고만 해주시고요. 현재 클릭수가 나와야 수익이 배분되는 것 같습니다. 아래 메일에서도 알 수 있지만 애드핏 측에서는 이를 광고효율이라고 이름 붙이는 것 같습니다. 광고효율이 높으면 높은 수익을 배분해 준다 정도인 것 같습니다.

현재 클릭수 기반으로 수익을 배분해 주는 광고 서비스가 애드센스, 데이블, 애드포스트, 애드핏 정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애드센스는 광고수익의 68%를 블로거에 지급해 주고 있고, 데이블은 70%를 지급해 준다고 공개하고 있습니다. 애드포스트와 애드핏은 수익의 어느 정도를 블로거에게 배분해 주는지 공개하지 않고 있고, 광고 미디어에 따라 정한 회사 기준에 따라 배분한다고만 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애드포스트 수익 배분이 애드핏보다는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최근 애드포스트 수익이 상당 부분 현실화되었다는 증언은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다시 네이버를 해야하나요?

애드핏이 클릭수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수익이 눈에 띄게 줄었기 때문에 애드핏 고객센터에 수익 배분율이 얼마인지 문의해 봤습니다. 약간 앵무새식 답변이긴 한데 잘 읽어 보면 광고효율에 따라 다르다 정도로 답변한 것 같습니다. 왜 국내 공룡 IT 기업 둘이 광고 수익 배분율을 공개하지 않는지 살짝 이해가 가지 않으면서도.. 자사 플랫폼을 사용하며 광고를 하고 있으니 공개하지 않는 것도 나름 그 회사의 권리인가 싶기도 하네요. 아래 애드핏 답변 메일 참고하시면 최근의 변화를 이해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kakao입니다.

카카오 애드핏 서비스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광고 제공 및 노출 과정에 있어 광고 플랫폼은 광고 최적화에 의해 
광고 효율 베이스의 광고 입찰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광고 제공자는 광고 효율을 기반으로 입찰을 진행하고 있어
효율 차이에 의해 입찰 금액 차이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광고 수익에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매체 광고 게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율 데이터가 쌓이면서
수익 배분은 광고 효율에 따라 매체별로 변화가 있을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애드핏에서는 다양한 광고 형태에 대한 개발과 
좋은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개선을 진행하고 있으며,
매체 트래픽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최적화 작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트래픽 양에 치중된 수익 구조가 아닌,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한 매체에 더 좋은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여러 개선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만일, 기존 수익 등에 변화가 있을 경우 페이지 내 광고의 위치나 크기, 
과도하게 광고가 많거나 사용성을 해치지 않는지 확인해 보시고 수정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항상 카카오 애드핏 서비스를 애용해주셔서 감사드리며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추가 2021/6/19) 오랜 만에 애드핏 수익에 대한 천기누설 업데이트를 해 보겠습니다. 확실히 adfit 수익구조는 지난 2월부터 변경된 것 같고.. 클릭수가 중요하고 클릭이 안 발생하면 수익도 거의 무시할 수준이 되었습니다.

할 수 없이 지난 4달 간 광고수도 2개로 줄이고.. 그냥 의리 수준으로 애드핏 광고를 게시하고 있었는데.. 어제 오늘 갑자기 위에 보는 화면 캡처처럼 애드핏 수익이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이런 수익 증가가 일시적인 현상인지 지속적으로 발생할 지는 아직 모르겠는데.. 최소한 애드핏 광고를 계속 게시해야 할 이유는 충분히 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계속 이런 행운이 찾아 오면 좋겠습니다~

 

애드핏 수익 추이

(추가 2023/1/6) 오랜 만에 업데이트 올립니다. 최근 카카오에서 이용약관 변경을 통해 티스토리 블로그에 강제로 애드핏 광고를 넣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새로 추가되는 조항입니다.

"제9조 (서비스 내 광고) 회사는 서비스 내에서 광고를 게재할 수 있으며, 게재되는 광고의 형태 및 위치, 노출 빈도, 수익의 귀속 등은 회사가 정합니다."

이 블로그는 현재 애드핏 광고 4개를 달고 있는데, 추가적으로 넣는다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애드핏 정책에는 한페이지에 4개까지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애드핏을 하나도 게시하지 않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넣겠다는 뜻 아닌가 짐작해 봅니다. 유튜브도 1000명 이하 동영상에 자기들 광고를 맘대로 게시하는 방향으로 약관을 개정했었습니다. 이 경우 수익 배분은 없습니다. 티스토리도 유튜브처럼 이삭줍기 수익모델을 만들려는 움직임으로 보이는데, 상식적인 선에서 운영했으면 합니다. 당연히 애드핏 계정이 있는 블로그의 카카오 게시 광고에 대해서는 저작자와 적절한 수익배분이 있어야 합니다. 다음 포털 뉴스의 애드핏 광고 수익이 저작권자인 신문사와 적절히 배분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티스토리를 취급해 주기 바랍니다. 안 그러면 소송에 시달리지 않을까요? 저작권법 위반?

아래는 해당 공지 글에 제가 작성한 댓글입니다.

"너무 비관적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애드핏 광고를 추가할 텐데.. 한 페이지당 4개까지 게시할 수 있다는 약관이 있기 때문에 기존에 4개를 달고 있다면 더 달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애드핏을 하나도 달지 않고 애드센스 수익만 추구하는 티스토리 사이트에 강제로 애드핏 광고를 추가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그 경우에도 애드핏 계정이 있다면 작지만 현재 애드핏 수준의 수익배분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추론이기 때문에 이보다 더 급진적인 변화를 추구할 수도 있고요. 흥분하지 않고 담담히 지켜보겠습니다.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190 참고해 보세요~"

오랜 만에 애드핏 수익을 점검해 보니.. 클릭 기반 보다 노출 기반으로 이동한 것 같습니다. 예전처럼 클릭이 없어도 노출만으로 매일 (정말) 작은 수익이 발생하네요. 방문자 증가로 많이 노출시키면 더 증가하는 걸로 봐서.. 알고리즘을 급격하게 바꿀 수는 없었나 봅니다. 위의 천기누설 내용은 각자 해석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