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lve/아파트관리

통합수구 콘센트를 편리한 4구 매입 콘센트로 DIY 교체하는 법

통합수구라고 아시나요? 아파트 벽면에 있는 전기 콘센트에 인터넷, 전화, 케이블티비 라인이 같이 달려 있는 아웃렛 박스를 말합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전기, 전화, 인터넷, 방송 등이 필수이기 때문에 방방마다 통합수구 콘센트가 설비되어 있는 것은 21세기 최첨단 아파트로서 당연한 내용입니다. 하지만 아파트가 건축되고 10년이 지난 사이.. 방송/통신 미디어 환경은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 많은 부분이 무선인터넷으로 해결되고 있고, 집전화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핸드폰만 있으며 방송도 유튜브가 대체하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모든 전기 콘센트가 저런 모양이라면 약간 시대에 뒤쳐진 느낌입니다. 특히 전기만 필요하고 인터넷, 전화, 케이블 라인이 전혀 필요없는 주방 같은 곳에서도 저렇게 통합수구가 박혀 있으니.. 아파트 건축 설계사가 생각이 짧았구나 라구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아래 사진은 저희 집 주방에 있는 통합수구 콘센트 사진입니다. 주방에 유일하게 있는 전기 콘센트인데.. 2구짜리 콘센트에 인터넷, 전화, 케이블 라인이 박혀 있습니다. 주방은 밥솥, 믹서기, 휴대전화 충전기, 커피머신 등등 작은 주방 가전들을 많이 사용해야 해서 전기 아웃렛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한데.. 딱 두개만 있고.. 나머지 전혀 사용 안하는 8P 인터넷, 전화 라인과 케이블티비 라인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아파트 특성상 시공때 한번 벽에 박아 놓으면 쉽게 변경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예전 미국 집 주방엔 전기 아웃렛만 거의 10개 정도 배치했었던 것 같은데.. 주방에 이런 통합수구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실수한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주방 벽면 유일하게 박혀 있는 통합수구 전기 콘센트 아웃렛

주방에서 전기를 많이 써야 하니.. 사진처럼 콘센트를 분기해서 사용하거나 전기 코드를 뺏다 꼈다 하는 수 밖에 없는데.. 대기 전력을 아끼려면 그렇게 해야 겠지만.. 그래도 이것 저것 와이프에게 불편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필요없는 아웃렛을 없애고.. 통합수구를 2x2 4구 콘센트로 변신시키면 편리할 것 같은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 2-3년 전부터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그 당시에도 쉬이 해결할 수 없었던 문제가 통합수구는 가로길이가 160 mm이고, 시중에서 파는 2x2 4구 콘센트는 가로길이가 120에서 130 mm여서 사이즈가 맞지 않습니다. 기성품 4구로 바꿨을 때 벽에 보기 흉한 구멍이 노출될 수 있었습니다. 작업 안하니만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어서 불편해도 참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폭이 넓은 4구 매입 콘센트가 나타나길 하릴없이 기다렸는데.. 최근 검색 중에 나노전기 아트2 하네스 시리즈가 폭이 넓은 걸로 나왔다는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어느 쇼핑몰 (경성전업)에서 가로길이가 135 mm라고 광고를 하고 있고 해서.. 아.. 이 정도면 작업이 가능하겠구나.. 구멍을 다 덮을 수 있겠구나 생각이 들어 통합수구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를 다시 들여다 보기 시작했습니다. 근데 살짝 이상한 것은 다른 쇼핑몰에서는 같은 시리즈 가로길이가 129 mm로 나와 있더라구요. 아.. 신상품이 나왔나? 쇼핑몰에 전화해서 135 mm 맞는지 확인해 달라고 하니 배송할 때 확인하고 135 mm 맞으면 배송하고 작으면 구매 취소하겠다고 하더라구요. 믿고 전화 기다렸는데..

왠걸.. 주말 지나고 화요일에 배달된 4구 콘센트 길이가 129 mm여서 황당했습니다. 광고된 사이즈와도 다를 뿐더러 4-5 mm 작아서 이걸 설치하고도 보기 흉하게 벽면이나 벽지 구멍이 노출될 수 있겠더라구요. 분명 배송 전에 판매업자가 확인하고 전화 준다고 했건만.. 전화가 없길래 사이즈가 맞나 보다 했더니.. 작은 사이즈를 확인 안하고 그냥 배송해 버렸네요. 전화로 항의하니.. 자기들은 판매업자고 광고업자가 따로 있는데 그쪽에서 잘못 광고했다고 광고오류 수정 지시하겠다고 면피 발언을 하네요. 일단 사이즈 불일치로 반품하고 근본적으로 다시 문제를 들여다 보기 시작했습니다.

커버가 제거된 통합수구 2구 콘센트와 8P-케이블 모듈 모습

잘 조사해 보니.. 이렇게 들어가 있는 콘센트를 통합수구 콘센트라고 부른다는 걸 처음 배웠습니다 ㅋㅋ 가로 길이가 140 mm 이상이어서 아무리 용을 써도 2x2 4구 콘센트로는 대체가 불가능 합니다. 특히 매입박스 2개가 각각 따로 박혀 있는 꼴이어서 고정 피스를 박을 수 없는 근본적 문제도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렇게 되다 보니 문제가 의외로 간단히 풀려 버렸습니다. 처음엔 절망했는데.. 어차피 4구를 넣지 못한다고 생각하니까.. 한쪽 생각이 막혀 버리니 자연스럽게 2구 콘센트를 2개 각각 집어 넣어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번쩍 들었습니다. 콜럼버스의 달걀과도 같은 해법인데.. 생각하고 보니 왜 이 생각을 진작에 못했지 하고 살짝 원망이 들더라구요. 커버가 하나여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어차피 2구 콘센트랑 8P, 케이블이 윗 사진처럼 각각 모듈로 되어 있으니.. 2구 콘센트를 2개 집어 넣고 둘 사이에 빈틈을 없애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고정 피스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되고요.

당장 동네 철물점 (유성건재철물 강추입니다!)으로 달려가 2구 콘센트 2개 (개당 2000원)와 점퍼용 전선 (무료)을 사 왔습니다. 판매직원과 이것 저것 상의했는데, 친절하게 자기 생각도 얘기해 주고, 점프선이 필요한데 하니 4 파이 정도면 될거다 하면서 전선 30 cm를 뚝 잘라 주더라구요. 그래서 아래와 같이 연결한 사진이 나왔습니다.

2구 콘센트 2개를 점퍼선으로 연결한 모습

2구 콘센트는 가로 길이가 70 mm 짜리여서 미리 재 본 벽면의 두 고정 피스 간의 거리와 딱 맞았습니다. 고정피스 구멍이 두개씩 있기 때문에 75 mm 정도까지는 커버될 것도 같습니다만 일단 안전하게 70 짜리로 도전했습니다. 철물점에서 받은 약간 두툼한 전선으로 전원단자와 접지단자 (초록색)를 점프하고.. (철물점 직원이 직경이 4 파이라고 했는데 정확한 재원은 확인 못했습니다..) 이것을 통합수구 자리에 집어 넣었습니다. 집어 넣는 자세한 과정은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면 될 것 같습니다. www.youtu.be/t9Pd8UzLA6A

주방 통합수구 리폼 동영상

거실 작업을 먼저 성공하고.. 철물점에서 2구 콘센트 4개를 추가로 구매하고 주방과 아이들 방 통합콘센트도 작업했습니다. 거실과 침실은 가로 70 mm 2구 콘센트로 작업이 용이한데.. 주방은 70 mm 짜리가 약간 작을 수 있습니다. 벽에 뚫려 있는 구멍 사이즈가 조금 커서.. 저는 어떻게 어떻게 잘 배치해서 해결했는데.. 구멍이 살짝 크다면 75 mm 나 약간 큰 것으로 작업 추천합니다. (예: 75x122 https://coupa.ng/bCbacj)

 

진흥전기 V시리즈 2구 콘센트

COUPANG

www.coupang.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또 전기 연결 작업할 때.. 저는 차단기를 내리지 않고 그냥 작업했는데.. 감전위험이 있으니 유튜브 영상 보고 리폼 시도할 분들은 꼭 차단기를 내리고 작업하세요. 위험하다고 느끼면 차단기를 내리는 게 정답입니다. 영상처럼 한라인 한라인 조심스럽게 따서 연결하면 감전되지는 않을 것 같았는데.. 이상하게 아이들 방 작업할 때는 살짝 감전이 되더라구요. 살짝 찌릿 찌릿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장갑을 끼고 하면 살짝 도움이 될 듯 한데.. 아무튼 전기작업은 차단기 내리고 조심하며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2구 콘센트 2개로 교체된 통합수구 모습

위 사진은 작업 마무리된 모습입니다. 깔끔하게 마무리 되었죠? 인터넷, 전화, 케이블티브 라인들은 나중에 다시 사용할 수도 있으니 안쪽에 잘 묻어 놨습니다. 또 집 팔때 아이들 방 침실 쪽 아웃렛은 원상복구해 줘야 하지 않나 생각되서 통합수구 한세트는 장기 보관할려고 합니다.

거실 벽면 통합수구 리폼 전후 before/after 사진

거실쪽 벽면에 붙어 있는 통합수구도 선풍기, 충전기, 공기청정기 등으로 여름에 매우 바쁜데.. 윗 사진처럼 깔끔히 리폼했습니다. 기존 아웃렛이 아이보리 색이었는데.. 철물점에 선택지가 많지 않아서 색깔을 맞출 겨를은 없었습니다. 뭐 나름 색 조합도 괜찮아 보입니다.

통합수구 교체 비용은 총 13000원 들었습니다. 2구 콘센트 6개와 전선 1 m (1000원). 쇼핑몰에서 구매했던 USB 콘센트 2개값 79100원은 돌려 받았고요. 절대 과하게 투자할 필요 없는 통합수구 프로젝트였습니다. (이 경우는 온라인 쇼핑몰이 오프라인 쇼핑몰보다 선택도 어렵고 비싼 경우가 많았습니다. 색깔, 크기를 맞춰 구매하려면 온라인에서 발품을 팔아야 할 듯 합니다. 다음 참고하세요 https://coupa.ng/bCbacj)

자.. 이렇게 2-3년 묵은 통합수구 체증이 쫙하고 내려갔습니다. 온라인을 다 뒤져봐도 이런 통합수구 개조 프로젝트를 한 내용은 없더라구요. 국내 최초 통합수구 리폼 프로젝트 보고로 보이네요. DIY 수요가 분명 있었을 텐데 아무도 작업하지 않은 것이 신기합니다. 전기작업이라 살짝 1인치 정도 장벽이 있나 봅니다. 자~ 그럼 제 경험 잘 참고하셔서 통합수구 DIY 리폼 프로젝트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추가 2020/5/11) 자세히 살펴 보면 저희 아파트 전기배선들이 Speel 사 제품이네요. 이 회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아래 제품으로도 교환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스필 (speel) 제품 통합수구 USB 제품

일단 폼 팩터가 일치하니 작업이 매우 편할 것 같고.. USB 충전 단자가 있어 요즘 세대 유행에도 딱 맞는데.. 온라인 쇼핑몰에서 찾기 매우 어려운 것 같고.. 가격도 좀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걸로 작업하실 분들은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드형(광고전용)